본문 바로가기
이것저것

[SK네트웍스 Family AI 캠프 11기] 1차 프로젝트 회고

by 파이현 2025. 2. 28.

2025년 02월 25일부터 2025년 02월 26일까지 양일간 SK네트웍스 Family AI 캠프에서 1차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프로젝트는 아래 북마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회고를 작성하기 전 프로젝트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드리겠습니다!

 

 

GitHub - SKNETWORKS-FAMILY-AICAMP/SKN011-1st-5Team

Contribute to SKNETWORKS-FAMILY-AICAMP/SKN011-1st-5Team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 프로젝트 소개

  • 프로젝트 주제: 연령별 신차 구매 트렌드 분석 및 FAQ 플랫폼
  • 프로젝트 기간: 2025.02.25 - 2025.02.26
  • 프로젝트 링크: https://github.com/SKNETWORKS-FAMILY-AICAMP/SKN011-1st-5Team/
  • 나의 역할
    • Figma를 사용해 UI 설계
    • Python의 Selenium을 사용해 현대자동차의 FAQ 페이지에서 차량구매 탭의 FAQ 데이터 크롤링하기
    • Python의 mysql.connector 라이브러리를 사용해 FAQ 데이터를 mysql에 저장하고, streamlit을 활용해 프론트mysql에 저장된 데이터 연동
  •  방법
    • 데이터 수집
      • car365의 차량 데이터: excel 시트로 변환한 후 python 코드를 사용해 mysql에 저장
      • 기업 faq 데이터: selenium을 사용해 데이터를 크롤링하는 python  코드를 작성, 데이터를 json 파일로 저장한 후 mysql에 저장
    • 웹 크롤러
      • python의 selenium 라이브러리를 사용해 동적 페이지의 데이터를 수집
    • DB
      • mysql에 cardb와 faqdb를 만들고 각 db에 테이블을 생성해 데이터 저장
    • Frontend
      • figma를 사용한 ui 디자인
      • python의 streamlit 라이브러리를 활용해 ui 구현
    • 데이터 시각화
      •  python의 pandas 라이브러리와 matplotlib 라이브러리를 사용해 dataframe과 표, pie 차트로 데이터 시각화
 

GitHub - SKNETWORKS-FAMILY-AICAMP/SKN011-1st-5Team

Contribute to SKNETWORKS-FAMILY-AICAMP/SKN011-1st-5Team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 4L 회고

Liked (좋았던 점)
  • DB, 크롤러, Frontend로 나누어 팀원들 모두 본인의 할 일을 끝까지 수행하기 위해 노력했다.
  • 다른 팀보다 뒤처진다고 생각을 해 팀원들과 역할을 분담하여 미리 했던 사전 작업들(GitHub readme.md 작성, 프로젝트 개요 확립, WBS 확립, ERD 설계 등)이 1.5일이라는 시간 내에 프로젝트를 끝낼 때 큰 도움이 되었다. 자잘한 일에 집중하지 않고 개발에만 몰두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 토이 프로젝트였지만 유저의 사용성을 고려해 페이지를 만들었고, 이로 인해 실제로 사용하기 편리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었다. (faq의 키워드 검색 기능)
  • git issue를 활용해서 본인이 개발한 기능과 엮어서 커밋 메시지를 작성했다. 협업 시 git issue를 잘 활용해 팀원들의 진행 상황을 한눈에 볼 수 있었다.
  • 발표를 마친 후 강사님과 함께 진행한 회고 시간이 유익했다. 팀원들과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내부에서 보지 못한 아쉬운 점들을 꼽아주셨기 때문에 다음 프로젝트에서는 아쉬웠던 점들을 개선할 수 있을 것 같다.
💡 강사님의 피드백
- 발표 딕션이 좋았음
- 주제 선정 필요성이 설득력 있었음
- README.md에 기술 스택과 협업툴은 따로 작성하기
- Figma 사용한 자료 리드미에 넣기
- WBS: 역할 분담 소개한 것이 좋았음-> db, crawler, ui 나눠 설명한 것은 좋았는데 누가 뭘 했는지 설명하고 작업의 플로우까지 얘기했으면 좋았을 것 같음
- ERD: 데이터 테이블의 확장성을 위해 고객 테이블을 따로 분리해서 설계했으면 좋았을 것 같음
- 데이터 시각화: pie차트 시각화 좋았지만 데이터 제공 기간에 대한 정보가 없는게 아쉬웠다 (어떤 기간 동안 집계 되었는지)
- faq 페이지 기능 중 키워드 검색 좋았음 -> 사용자 입장에서 설계한 게 느껴짐
- 회고록 발표에서 협업이 잘되었다고 느껴져 좋았음

 

Learned (배운 점)
  • 내가 시간이 부족한 프로젝트할 때 어떤 성향인지 파악할 수 있었다.
  • git을 사용할 때 항상 충돌을 무서워했는데, 팀원분이 git stash라는 명령어를 알려주셨다. git의 유익한 명령어를 알게 되어서 좋았다. 
  • 어쩌다 보니 갑작스럽게 프로젝트의 발표를 맡게 되었는데 발표를 하면서 우리 프로젝트를 다시 한번 정리할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다음에 발표를 또 하게 된다면 1차 프로젝트의 발표보다 성장한 모습으로 발표할 수 있을 것 같다.

 

Lacked (부족했던 점)
  • 나의 할 일에 몰두하느라 다른 팀원들의 얘기를 귀담아 듣지 못했던 것 같다. 앞으로는 팀원들과 소통을 더 하며 프로젝트를 진행해야겠다고 다짐했다.
  • 수업 시간에 배웠던 코드를 많이 참고했다. 코드를 하나부터 열까지 내가 직접 쓰지 못했던 것이 아쉽다. 꾸준히 복습하며 배운 것을 내 것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겠다.
  • 프로젝트 기간 동안 감기에 걸려 프로젝트를 할 때 높은 효율을 내지 못했다. 건강 관리도 잘해서 다음 프로젝트에서는 효율적으로 내 역할을 수행해야겠다고 다짐했다.

 

Longed for (바라는 점)
  • 모르는 것들을 계속 복습하며 익히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