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IT5

[Git] GitHub Pull Request가 안 되는 원인과 해결 (feat. There isn't anything to compare) 문제 상황git push까지 마치고 create pull request를 하기 위해 github를 확인했는데 there isn't anything to compare이라고 화면에 뜨며 pr을 올릴 수 없는 경우  문제 원인base branch와 commit history가 다르기 때문에 발생!git clone을 통한 remote 연결이 아닌 git remote add를 통해 연결한 경우에서 git pull을 받아오지 않았을 때 발생git remote -v를 통해 원격 저장소를 확인하면 코드를 올리고자하는 레포에 연결이 되어 있긴 함 문제 해결rebase를 사용하자!git rebase: base를 다시 설정한다는 의미로 rebase를 사용하면 base가 재설정되어 commit history가 합쳐지게 됨 .. 2025. 3. 6.
[Git] 다른 브랜치로 github pull request 올리는 방법 pull request란?: 다른 브랜치에서 작업한 변경 사항을 다른 브랜치에 병합해 달라고 요청하는 것 Pull Request는 PR이라고 하며 pull request 요청을 보내는 것을 'PR을 올리다'라고도 하며, 'PR 날린다'라는 표현도 많이 씁니다. PR을 올리는 방법을 간단히 순서로 정리해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준비 단계0️⃣ PR 올릴 레포지토리 Fork 하기1️⃣ clone 및 remote 설정하기2️⃣ 브랜치 생성하기PR 올리는 단계3️⃣ 코드 add, commit, push 하기4️⃣ pull request 생성하기5️⃣ merge pull request 준비 단계는 맨 처음 원격 레포지토리와 연결이 안 되어 있을 때 한 번만 실행하면 되고, 원격 레포지토리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라면 .. 2025. 3. 2.
[Git] git과 GitHub 본격적으로 git과 GitHub에 대한 설명을 들어가기에 앞서 꼭 알아야 할 용어를 정리하고 가겠습니다.💡로컬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     - 레포지토리(Repository): 파일, 폴더 등을 저장하는 저장소     - 로컬 저장소(Local Repository, 로컬 레포지토리): 내 노트북에 있는 디렉토리     - 원격 저장소(Remote Repository, 원격 레포지토리): GitHub의 내 계정에 있는 Repository 레포지토리는 줄여서 레포(repo)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참고해 주세요!  git과 GitHubgit과 GitHub를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git은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이고, GitHub는 git 기반의 웹 호스팅 서비스입니다. git이 처음이라면 요약된 한 문장만 보시.. 2025. 2. 28.
[Git] GitHub와 디스코드 Webhook 연결을 통해 깃허브 업데이트 알림받기 알고리즘 스터디를 진행할 예정인데 알고리즘 푼 코드를 GitHub에 pr 보내는 방식으로 운영할 예정이라 디스코드에 gitbot을 만들었습니다. 어떻게 GitHub와 디스코드 Webhook을 연결했는지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디스코드에 새 웹후크 만들기 우선 깃허브와 연결하고 싶은 디스코드 채널을 선택해 채널 편집 > 연동 > 웹 후크를 선택합니다. 선택하게 되면 위와 같은 화면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새 웹 후크를 클릭해 새로운 웹 후크를 생성합니다.  새 웹 후크를 선택하시면 위와 같은 화면이 뜨는데 원하는 채널에 웹 후크를 연결하고, 이름을 설정한 다음 변경 사항을 저장해줍니다. 그리고 웹 후크 URL도 복사해주세요!  2. 깃허브 Webhooks연결을 원하는 깃허브 계정의 settings.. 2025. 2. 19.
[Git] .gitignore에 .vscode 추가해도 삭제되지 않을 때 해결 방법 문제.vscode를 Git에 업로드하고 싶지 않아 .gitignore에 추가하지만 설정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gitignore에 포함이 되지 않음현재는 해결이 완료된 상태라 .vscode가 회색이지만 해결이 되지 않았을 때는 맨 하단의 폴더와 같이 흰색으로 표시되었습니다! 이유git cache에 이미 .vscode가 저장이 되어 있어 생기는 문제입니다.따라서 cache만 삭제해주면 해결이 금방 됩니다. 해결git rm -r --cached .vscode/위의 명령어로 git cache를 삭제해 줍니다.git rm --cached 파일: git(원격 저장소)에 있는 캐시를 삭제-r: 캐시 파일에 추가가 된 상태였기 때문에 -r 옵션(remote)을 추가해 줬습니다 .vscode 폴더 외에도 git에 올리.. 2025. 2. 17.